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부정맥 질환 중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심방세동은 심방 내 혈액이 정체되면서 혈전이 생기고, 이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
     

    박경민-교수
    박경민-교수

    그러나 심방세동보다 훨씬 더 치명적인 부정맥이 존재합니다. 바로 심실 부정맥입니다. 심실 부정맥은 심실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로 인해 급격히 심장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, 이로 인해 몇 분 안에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.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 명의로 출연하는 박경민 교수는 순환기내과 전문의로 아래에서 바로 진료 예약 및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이란?

     

     

    부정맥은 심장 리듬에 이상이 생겨 맥박이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를 말합니다. 특히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유형입니다.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집니다

    • 심실 빈맥: 심실이 분당 120회 이상 빠르게 수축하는 상태.
    • 심실 조기 수축: 심실이 정상 박동보다 먼저 수축하는 상태.
    • 심실 세동: 심실이 300~600회 떨리지만 제대로 수축하지 않는 상태로, 심실 세동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없으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. 이는 돌연사의 주범이 되기도 합니다.

    심실 부정맥의 원인

     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겨서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.

     

    또한 심근병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이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음주, 흡연 등 생활 습관과 다른 질환도 심실 부정맥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제세동기의 역할과 한계

    제세동기는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급사를 예방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. 예를 들어, 40대 여성은 제세동기 삽입 후 급사를 막을 수 있었지만, 이 장치의 전기 충격이 예상치 못한 순간에 찾아오면 큰 스트레스와 공포를 유발하기도 합니다.

     

    제세동기는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지만, 부정맥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는 없으며, 심장의 리듬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다른 치료법이 필요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의 합병증과 치료

     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은 심부전과 폐부종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심부전은 심장이 충분히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게 하여 심장의 기능이 저하됩니다.

     

    이 경우, 심장이식이나 좌심실 보조장치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를 통해 심실 부정맥은 완치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심실 부정맥은 돌연사와 여러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. 하지만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, 제세동기와 같은 장치 외에도 심장 리듬을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는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오늘 명의에서는 심실 부정맥의 원인, 증상, 치료법 등을 ☞순환기내과 박경민 교수와 함께 알아 봅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